H / 탈장 / 소아서혜부탈장
내장은 복막이라는 막에 싸여 복부 안에 존재합니다. 이렇게 존재하는 체재의 장기가 본래의 위치에서 이탈하여 복강 밖으로 나오는 상태를 탈장이라고 합니다. 특히 사타구니(서혜부) 부위에서의 탈장을 서혜부 탈장이라고 하는데 이는 가장 흔희 나타나는 탈장입니다.
태생기에 존재했거나 만들어졌다가 출생시에는 자연적으로 없어지거나 막히는 구조물들이 복벽에 있습니다. 그러나 조산 등의 원인으로 이러한 구조물이 미처 막히지 않거나 없어지지 않으면 위에서 열거한 종류의 탈장이 생기게 됩니다.
그 중에서 가장 흔한 서혜부탈장과 음낭수종은 고환이 음낭으로 이동해 내려오면서 만들어 놓은 칼집돌기라고 불리는 복막주머니가 막혀 없어지지 않아서 생기게 됩니다. 제대탈장도 배꼽을 통해 태반과 연결되어 있는 동맥과 정맥이 지나던 근막의 구멍이 막히지 않아서 발생합니다.
횡격막탈장은 식도 주위의 횡격막에 결손부위가 생겨서 그 결손부위로 위의 일부가 가슴 속으로 탈장이 되는 질환입니다.

서혜부 탈증은 크게 직접 서혜부 탈장과 간접 서혜부 탈장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간접 서혜부 탈장은 소아에게 흔히 발생하며, 고환이 음낭 안으로 내려온 통로가 선천적으로 막히지 않고 열려 있기 때문에, 여기로 소장 등이 빠져 나오게 되어 발생하게 됩니다. 반면 직접 서혜부 탈장은 성인에게 주로 생기고, 서혜부의 근막 등이 약해져서 생기게 됩니다.

서혜부탈장과 음낭수종, 배꼽탈장 등은 눈으로 봐서 볼록하게 튀어나오는 것이 보입니다. 이런 탈장을 가진 아기가 심하게 울며 보채면 탈장부위를 확인해보고 단단하게 부어올랐으면 빨리 병원에 오셔야 합니다.
횡격막 탈장의 증상은 호흡곤란, 신트림, 속쓰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서혜부탈장
생후 50일이 지난 후 수술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미숙아로 출생한 아기인 경우엔 생후 6개월 정도 지난 후에 수술을 해줍니다. 소아의 서혜부탈장은 탈장주머니만 박리해서 자르고 묶어주는 고위결찰술이란 수술을 해줍니다.

음낭수종
돌이 될때까지 기다려본후 이후에도 없어지지 않는 음낭수종은 수술을 해주어야 합니다. 서혜부탈장에서처럼 고위결찰을 해주며 음낭수종, 즉 물주머니를 추가로 절제하기도 합니다.

배꼽탈장
두돌이 지난 후에도 없어지지 않는 배꼽탈장이나 크기가 2cm 이상 되는 탈장은 수술을 해줍니다. 탈장주머니를 주위에서 잘 박리한 후 자르고 묶어 준 후에 탈장주머니가 빠져 나왔던 근막의 구멍을 막아줍니다.

횡격막탈장
증상이 매우 심할 때는 개복을 해서 결손부위를 막아주는 수술을 합니다.